"신짜오 몽실"
개막공연으로 드림아트홀에서 극단 '모시는 사람들'의 '신짜오 몽실'이라는 작품인데요
낮에 있었던 리허설을 담고 왔습니다.
그런데, "신짜오"가 무슨 말인지 궁금하시죠?
베트남 말로 "안녕하세요? / 안녕?" 이라는 의미랍니다.
그러니까 "안녕 몽실?" 이라는 말이죠?
그럼, 주인공의 이름을 대충 아시겠죠?
바로 몽실이랍니다.
무대의 막은 이렇게 정감어린 헝겊 이불로 되었습니다.
제 어릴적 헝겊이불...
그것이 생각나네요?
연극이 시작되기 전, 몽실엄마와 실제 베트남 여인이 나와서 연극에 대한 소개를 합니다.
이름은 잊었는데, 한국 말로는 '향기'라는 이름이라고 하더군요.
이 연극은 베트남의 전래동화를 모티프로 했습니다.
바로 '별나무 이야기'입니다.
실제 베트남에는 이런 '별나무'가 있다고 하네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연극이야기에서 다시 해드릴께요~!
연극의 시작은 아주 평범하지만 행복한 한 가정의 모습으로 시작합니다.
아버지의 생신 파티를 준비해 놓고 오시기만을 기다리는 엄마와 아이들의 모습...
어느 가정과 다를 바 없는 행복한 모습입니다.
아빠가 오기만을 손꼽아 기다리는 아이들...
딸들은 아빠의 힘이죠?
마침내 집으로 돌아오신 아빠를 맞이하여
아빠의 생신선물을 증정하는 딸들...
그런데, 이 아빠의 왼손...
잘 쓰지 못하는 불편함을 갖고 있습니다.
그것에 대한 이유는 생략되었지만, 중요한 것은 이 불편한 왼손을 갖고
가정을 위해 열심히, 묵묵히 일하는 성실한 아빠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렇게 아빠의 생일 파티는 점점 분위기를 더해가는데...
하지만, 그 행복의 절정의 시간에 걸려온 한통의 전화...
몽실 엄마...
바로 베트남 여인의 아버지의 위독함의 소식인 것입니다.
하지만 녹록치 않은 가정형편에 베트남으로 갈 비행기 삯이며,
몽실이를 비롯한 아이들을 놓고 갈 수 없는 처지...
결국 가야만 하지만, 갈 수 없는 슬픔으로 밤을 지새우는데...
그러나 이 행복한 가족...
현실을 뛰어 넘을 수 있는 것은 돈이 아니라, 바로 사랑!!
그 사랑의 위대함은 슬픔을 이길 새로운 힘을 주는 법...
무슨 수를 쓰더라도 아내와 함께 베트남으로 갈 것을 결심한 아빠...
그 다음날...
아이들은 벽에 낙서를 하고...
몽실이는 그 과정들을 일기로 남기기 시작합니다.
어디선가 갑자기 등장한 사람들...
아빠는 베트남으로 가야 할 비행기 삯을 위해 집을 내놓기로 한 것이다.
집을 보러 온 신혼부부와 부동산 중개인..
아이들은 무슨 영문인지 몰라 어리둥절 하다.
"왜 왔지?"
"무슨 일이지?"
아이들은 걱정의 눈초리로 그들을 바라보는데...
집이 마음에 드는 신랑,
하지만, 신부는 무엇인가 마음에 걸린다.
그렇다...
아이들이 베트남 엄마 아래에서 태어난 혼혈이라는 사실과,
엄마가 베트남 사람이라는 것이 이 집을 사는데 불편하기만 한 것이다.
사실, 집을 사는데, 베트남 엄마와는 무슨 상관이 있겠는가?
하지만, 우리네 현실은 아직 다문화 가정에 대한 편견이 있지는 않은가?
연극은 그 불편한 현실의 이야기를 꺼내기 시작한다.
아이들은 속상하다.
왜 엄마가 다른 사람들에게 손가락질을 받아야만 하는지...
그런 현실을 아는 엄마는 아이들에게 아무런 말도 해 줄 수 없다.
그저 품에 안은채 그저 눈물만 흘릴 뿐....
베트남으로 떠나기 전날, 아빠는 아이들에게 인형극을 보여준다.
이 집을 떠나야 하는 것,
아빠가 엄마와 베트남에 다녀올 동안 몽실이가 엄마라는 것,
그리고 시골집에서 행복하게 살 이야기들...
아빠와 엄마는 아이들을 남겨 둔 채 베트남으로 가야 하는 현실이 내심 불안하기만 하다.
하지만, 몽실이는 두려움 보다는 해낼 수 있다는, 아니 해내야만 한다는 일념으로 가득차 있다.
이제, 이 가족은 잠시의 이별을 앞둔 채 마지막 행복을 만끽한다.
그러나, 이 행복이 지속될 수 있을까?
연극은 점점 위기를 향해 치닫는다.
아니나 다를까?
동생의 잘못을 따지기 위해 온 동네 아줌마...
몽실이는 부모님께서 주고 가신 용돈을 모아 사과를 하고...
돈이 부족한 아이들...
먹을 것을 사먹어야 하는데, 돈이 모자르다.
결국 몽실이는 '라면 마술'을 동생들에게 보인다.
그 '라면 마술'...
가슴 한 구석이 먹먹해 집니다.
그것은 다름 아닌, 라면을 하나 끓여 시간을 두어 불려 더 많은 양으로 만드는 마술이었던 것입니다.
결국 그 라면 마술...
얼마나 효과가 있겠습니까?
몽실이도 결국 배고픔을 참지 못하고 동생들과 '마술 라면'을 먹습니다.
그런데 밀린 전기료를 내야 할 공과금으로 동생의 잘못을 처리한 터...
결국 집의 전기가 끊어지게 됩니다.
그러나, 이 아이들...
그 두렵고 어려운 현실 속에서 손전등으로 그림자 놀이를 합니다.
이렇게 슬픔을 기쁨으로 바꾸는 아이들의 동심...
다문화 가정의 이야기를 그냥 무거운 주제로 다루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의 눈에서 바라본 세상으로 다루었다는 점이 이 연극을 슬픔이 아닌
기대감으로 보게 하는 요소가 됩니다.
밤은 깊어가고, 잠을 오고...
쉽게 잠을 청하기 어려운 동생들...언니에게 옛날 이야기를 해달라고 합니다.
동생들에게 몽실이는 엄마에게 들었던 베트남 동화를 해 주기 시작합니다.
바로 "별나무 이야기"입니다.
별나무 이야기는 이러합니다.
옛날 두 형제를 둔 엄마가 돌아가시면서 유산을 물려 주었는데,
욕심 많은 형님은 밭 조금과 별나무만 동생에게 주고
나머지는 자기가 다 가져버립니다.
하지만 마음씨 착한 동생은 아내와 함께
어머니께서 물려 주신 밭에서 별나무를 열심히 가꿉니다.
그 별나무에 열매가 주렁주렁 맺히는데...
그 열매를 쪼아 먹는 새에게
'새야, 우리가 너무 가난해 먹을 것이 그것 밖에 없으니 우리가 먹을 것만 남겨주렴'
하지만 새는 '열매 하나에 금덩이 하나' 라는 말만 되풀이 합니다.
동생의 착한 마음을 본 새는 동생을 데리고 금덩이가 있는 곳으로 데리고 갑니다.
마음씨 착한 동생은 욕심을 부리지 않고 적당한 금만 챙겨서 오게 되고..
결국 동생은 그 금을 팔아 부자가 되었답니다.
하지만, 이것을 알게 된 형님...
배가 아프고...
어머니가 꿈에 나타나 별나무와 밭을 자기에게 주고
자기가 갖고 있는 모든 것을 그것과 바꾸라고 했다며
동생을 속입니다.
하지만 맘 착한 동생..형님의 말에 그대로 순종해서 별나무와 밭을 형님에게 줍니다.
그러나 이 형님 부부...
별나무 열매를 먹으러 온 새를 겁박해 금이 있는 곳으로 가는데 성공합니다.
하지만 욕심많은 형님...
너무 많은 금을 챙기게 되고...
새는 계속 말립니다.
너무 무거우면 날 수가 없다고...
하지만 형님은 욕심을 부리고 새를 타고 날다가 그만 바다에 떨어지고 맙니다.
물속으로 떨어진 형님은 금덩이를 포기하지 않고
부인은 그 금덩이를 빼앗으려고 형님과 싸움까지 벌이고...
이를 구하려는 동생 부부를 뿌리친 채...
결국....
그런데 이 금자루...
몽실이에게 가네요~~~
그 금덩이 자루...앞으로 몽실이에게 벌어질 좋은 소식이 아닐까요?
한편, 베트남의 몽실 엄마와 아빠...
다행히 위기를 넘긴 몽실이 할아버지
이제 아이들이 있는 대한민국으로 떠나게 됩니다.
아이들은 벽에 있는 낙서들을 지우기 시작합니다.
지금까지 삶의 불편함과 아픔으로 남은 흔적들을 지우려는 듯,
아이들은 열심히 벽의 낙서들을 지웁니다.
그렇게 슬픈 기억들을 지우고,
행복한 추억들만 가득하길 바라는데...
그런데 저 멀리서 반가운 목소리가 들립니다.
바로 그렇게 기다리던 엄마와 아빠....
아이들은 이제 행복한 추억을 간직한 채 엄마와 아빠를 향해 달려갑니다.
그간의 어려움의 슬픔이 아닌,
새로운 희망에 대한 기쁨으로 이 가족은 다시 재회를 합니다.
그간 있었던 이야기들...
그리고 엄마와 아빠를 만나면 하고 싶었던 이야기들...
그 이야기들은 끝이 없이 이어져 갑니다.
그렇게...행복을 품은 별처럼...
그렇게 연극은 끝이 납니다.
행복을 가득 머금은 채 말이죠...
장소 |
구분 |
단체명 (극단) |
작품명 |
기간 |
공연시간 |
티켓가격 |
소극장 금강 |
자체 |
금강 |
장군슈퍼 |
11.04(금)~13(일) |
평일8시. |
일반15,000 |
초청 |
엘칸토 |
병사와 수녀 |
10.20(목)-23(일) |
평일8시. |
일반15,000 | |
초청 |
누리에 |
적의 화장법 |
10.14(금)-16(일) |
평일8시. |
일반15,000 | |
드림 아트홀 |
/일본 공동제작/ |
드림 |
바이올린 만담 |
11.03(목)-06(일) |
평일8시. |
일반15,000 청소년10,000 |
대전 |
손수 |
새끼 |
10.22(토)-30(일) |
평일8시. |
일반15,000 | |
초청 |
모시는 사람들 |
신짜오 몽실 |
10.13(목)-14(금) |
평일 8시 |
일반15,000 | |
소극장 마당 |
자체 |
마당 |
문득 멈춰서서 이야기 하다 |
10.20(목)-23(일) |
평일8시. |
전석초대-입장권 극단문의 |
대전 |
새벽 |
날아라 병아리 |
10.27(목)-11.13(일) |
평일8시. |
일반15,000 | |
초청 |
대학로 극장 |
눈 오는 날 파도는 |
10.14(금)-16(일) |
평일8시. |
일반15,000 | |
상상 아트홀 |
대전 |
셰익스피어 |
뮤지컬 '7인의 천사' |
10.22(토)-11.05(토) |
평일, 주말8시 |
전체 20,000 |
대전 |
우금치 |
할머니가 들려주는 우리신화 이야기 |
11.09(수)-13(일) |
수,목,금 2시 |
전체 15,000 | |
소극장 핫도그 |
자체 |
놀자 |
춘천거기 |
10.14(금)-21(금) |
평일8시. |
일반15,000 |
대전 |
빈들 |
언덕을 넘어서 가자 |
11.02(수)-13(일) |
평일8시. |
일반15,000 | |
초청 |
완자무늬 |
엔드게임 |
10.26(수)-30(일) |
평일8시. |
일반15,000 | |
소극장 |
대전 |
앙상블 |
꽃마차는 달려간다 |
10.14(금)-11.13(일) |
평일7시30분. 토3시30분,7시30분. 일3시30분 |
전체 20,000 |
< 출처 : 대전공연 함께 보기 >
[방송] 블로거보고 대전MBC라디오도 맡으라고?? (2) | 2011.10.27 |
---|---|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 中 1막 연습과 리허설 (0) | 2011.10.26 |
[현장] 노벨상을 향한 과학의 꿈, 2011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2) | 2011.10.12 |
[운동회] 푸른 꿈이 뛰어 노는 하기초의 운동회날 (4) | 2011.09.27 |
[특강#3] 컴퓨터 대신 스마트폰으로 하는 10가지? _ SNS특강 #3, 홍순성 홍스랩 대표 (2) | 2011.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