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IT] 과학과 감성의 만남, 길잃은 꼬마로봇 실험.

About Photo

by 공연소개하는남자 2011. 2. 5. 11:23

본문



어제 스폰지를 보다가 너무 재미있어 검색을 해 보았다.
바로 케이시 킨저의 "Robot Love"라는 Pop Tech 2009에서 발표한 연구 결과물을 기반으로 한 코너였다.

이를 기사화 한 2009년 4월 13일자 중앙일보의 기사내용이다.

미국 뉴욕 대학교의 한 대학생이 공개한 이색 실험 결과가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 큰 화제가 되고 있다. 
뉴욕의 도시인들이 낯선 로봇을 적극적으로 도왔다는 것 
그리고 현대인들의 가슴이 여전히 따뜻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는 게 실험 결과의 요점이다.

뉴욕대 티쉬 아트 스쿨의 케이시 킨저는 ‘트윈봇’이라는 로봇들을 만들었다. 
말이 로봇이지 트윈봇은 지극히 단순한 기계다. 
30센티미터가 되지 않은 작은 몸체는 앞으로만 움직인다. 
몸체를 골판지로 포장하듯 두르고 골판지는 눈에 해당하는 점 두 개와 웃음 짓는 입술에 해당하는 곡선을 그려 넣었다. 
로봇에는 깃대가 있다. 그 꼭대기에는 도와달라는 문구와 함께 로봇의 목적지가 적혀 있다.

이 작은 로봇을 인도에 풀어놓았다. 작은 홈에 빠지고 장애물 앞에 막혀서고 목적지와는 반대 방향으로 향하기도 했다. 
뉴욕 시민들의 반응은 어땠을까.



시민들은 로봇이 목적지를 향하도록 방향을 틀어주었다. 홈에 빠져 있으며 꺼내주었다. 
여러 차례의 실험 과정에서 트윈봇이 길을 완전히 잃거나 파손된 일은 단 한 번도 없었다. 
일부는 로봇을 목적지와는 다른 방향으로 틀어놓기도 했다. 그것은 로봇을 보호하기 위함이었다. 
한 남자는 이렇게 로봇에게 타일렀다(?). “그쪽으로 가면 안 돼. 찻길이거든.”

뉴욕 워싱턴스퀘어파크 북서쪽에서 남서쪽 구석으로 트윈봇을 향하게 한 실험에서는 29명의 시민들이 꼬마 로봇을 자발적으로 도왔고, 
출발에서 도착까지 총 42분이 걸렸다.

이번 실험은 ‘낯선 존재에 대한 도시인들의 공감 능력, 그리고 도와주려는 따뜻한 마음’이 확인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물론 비주류 해석도 있다. 
몇몇 블로거들은 비판적인 반응도 보인다. 로봇의 ‘작고 귀여운 이미지’ 덕분에 뉴요커들이 도왔다는 지적이 있다. 
또 로봇을 돕는 데 자기희생이 거의 필요 없었기 때문에 도움에 나섰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뒤집어 말해 흉한 모습의 낯선 존재라도 돕겠냐는 것, 또 시간과 노력이 많이 필요한 도움에도 적극 나설 수 있겠냐는 것이다.






한국에서의 실험 결과는 어떠했을까?
스폰지 팀의 실험에서 3차 실험만에 결국 어렵사리 성공을 했다.
오히려 "情"에 약한 한국에선 쉽게 성공하지 못했다는 현실이 한편으로 씁쓸했다.

하지만, 대한민국에 숨어 있는 따스한 마음들이 더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져버릴 수는 없다.
어려운 현실일 수록 더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나누는 우리네 삶을 보건데....

약자에 대한 배려가 점점 사라지는 현실...
그럼에도 그 약자에 대한 관심을 갖는 사람이 늘어난다면 어떠할까?

오지랍도 넓다는 말로 이 과학 실험의 결과를 매도할 수도 있겠지만, 
부정적인 생각보다는 긍정적인 측면으로 보려 한다.
아직까지는 사람사는 세상은 따스함이 남아있다고...

그래야지만 좀더 살맛나는 세상이 아닐까???

아래 영상은 Pop Tech 2009에서 발표한 케이시 킨저의 영상이다. 
3분 30초이후 부터 보시면 좀더 쉬울 것 같다.



Copyright kaciekinzer /  http://tweenbots.com/

관련글 더보기